주거공간
성수동 상가주택 외관 리모델링

뚝섬역 근처를 와 보신 분이라면 어디로 향하든 식당이나 빵집, 카페 등 여러 음식점들이 즐비해 있는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젊음의 활기로 가득 찬 성수동 맛집 골목들을 파고 들어가니 30여년의 세월동안 그 자리를 묵묵히 지키고 있는 한 주택이 있었습니다. 1, 2층은 공장으로, 3층은 건축주 분께서 거주하시는 복합적인 용도의 주택이었습니다. 오래된 시간 탓인지 건물 곳곳에서 노후된 모습들이 보였고 어떤 곳은 위태로워 보이기까지 했습니다. 또한 입구가 눈에 크게 띄지 못해 유동인구가 상당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지나치는 사람들이 태반이었죠.

상업 공간은 고객들의 눈길을 끄는 것이 1순위 고려사항입니다. 특히 이 장소는 뚝섬역 근처이기에 주변에 식당이나 카페 등 상업 공간들이 워낙에 많아 '눈길이 가는 외관'은 더욱 중요한 사안이 되었죠. 하지만 시공 전의 건물은 큰 특징이 없어 그 점을 소화해 내기 어려웠습니다. 그렇다면 이 건물은 어떻게 디자인궁의 손길을 거쳐 새로운 건물로 탄생하게 되었을까요? 지금부터 새롭게 탄생한 성수동 상가 건물의 모습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사진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좌우로 이동하면, 시공 전후를 한 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after
before
유형상가주택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건축구조철근콘크리트구조/연와조
공사기간2018년 4월 ~ 2018년 6월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출입구

출입구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이 건물은 본래 상가주택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것이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사진을 보면 크게 눈에 띄지 않기도 하고, 애매한 형태와 높이의 천장과 앞에 주차되어 있는 트럭 때문에 이게 입구인지 인지조차 하기 힘들었습니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궁은 컬러에서 대비감을 주는 것을 제안해 드렸습니다. 채도의 차이가 강하면 강할수록 눈에 잘 띄는 법입니다. 그 중에서 블랙과 옐로우가 그 차이를 가장 크게 실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컬러로 시공을 진행하여 지나가다가 그냥 보더라도 한 눈에 어떠한 건물의 출입구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실제로 시공 후 카페가 새로 생겼냐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답니다 *"*)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입구 전경

입구 전경의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이 건물의 경우 입구를 통과하면 바로 실내로 통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통로를 두고 실내로 입장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문에 발생한 통로도 놓칠 수 없는 요소였죠. 입구 사진에서 보셨듯이 애매한 높이와 위치의 지붕과 천막, 정리되지 않은 여러 짐들은 이 건물이 눈에 띄게 하는 것에 크게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었습니다. 이렇게 놓여있는 짐은 때로는 걸려서 넘어지는 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디자인궁은 이런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통로 자체도 하나의 요소가 되도록 설계하고자 했습니다. 짐이 널브러져 있던 곳에는 화단을 설치하고, 걸어오는 통로는 나무 데크로 시공해서 이 공간 자체가 하나의 조경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이 공간은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입구에 발을 디딘 순간부터 내부에 도착하기까지, 그 찰나의 시간도 놓치지 않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화사한 입구를 통과하고 나면 이렇게 양쪽으로 아름다운 조경이 이용자를 맞이해주는 구간이 나오는 방식입니다. 세련되고 은은한 조명 아래의 화단을 누비는 나의 모습을 한 번 상상해 보시면 어떨까요? 너무 기분이 좋을 것 같습니다 :)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계단실

계단실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기존에 있었던 계단은 표면이 벗겨지는 등 고르지 못하고, 옥탑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그 하부가 통일되지 않아 상당히 지저분해 보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간이 꽤 오래 흘러서 균열이 가 있었고, 제대로 설치되어있지 않은 난간들은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요소였습니다. 이에 디자인궁은 블랙 철제 난간과 통으로 막혀있는 유리 난간을 제안드렸습니다. 입구에서부터 사용한 컬러감을 그대로 가져와 테두리는 블랙 철 프레임을, 난간은 통유리로 설치하였습니다. 그에 더해 유리는 노란 빛을 은은하게 퍼지도록 투과시키고 있어, 통으로 막혀있지만 답답하지 않고 그 사이로 목재 계단이 보여 심심하지 않으며 조경과 함께 어우러져 통일성있고 감각적인 구성으로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계단의 중앙을 통해 수직으로 뻗은 대나무도 분위기를 한 층 더해주는 모습이 보입니다. 아름다운 조경을 지나왔다면 이번엔 신비로운 숲속을 걷는 듯한 느낌을 주는 듯 하지요. 맨 오른쪽 사진은 3층이 주거공간이기 때문에 1, 2층의 상가와 분리될 수 있도록 문을 신설한 모습입니다. 이 도어의 컬러도 바닥에 설치된 나무 데크와 유사한 컬러로 통일시켜 이 모든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어지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주변 환경과 확실히 달라 보이는 외관과 더불어 우드와 플랜테리어의 아름다운 조합은 상가의 자리에 그 어떤 점포가 들어와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공간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옥탑 외부

옥탑 외부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초록색 페인트가 벗겨진 바닥은 건물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고, 지저분한 외관과 늘어진 전깃줄들은 이 건물이 오랫동안 관리되지 못한 듯한 느낌을 줍니다. 이런 느낌을 탈피하고 세련된 외관으로 탈바꿈하고자 파벽과 그레이톤의 도장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계단 전경에 사용되었던 목재 데크를 그대로 사용해 통일감을 주는 효과도 챙길 수 있었습니다.

옥탑방의 출입구에는 센서등을 설치하여 사람이 오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등을 천장이 아닌 벽에 설치한 것도 하나의 독특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옥탑 공간이 있으면 한 번 쯤은 고기를 구워먹거나 작은 텃밭을 두고 키우는 등 가족 모두가 함께 하는 모습을 상상하게 됩니다. 여기 이 나무 데크가 그 역할을 해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성수동 상가주택 외관 리모델링> 의 추가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주)디자인궁  ㅣ 대표이사 남궁설원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ㅣ 대표번호 02-461-0404ㅣ 팩스 02-336-0409 ㅣ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디자인궁대표이사 남궁설원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대표번호 02-461-0404  |   팩스  02-336-0409  |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견적문의
블로그
카카오톡 상담
위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