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
홍제동 다가구주택 내부 리모델링
(분리세대)

홍제역 사이 시장 언덕으로 올라가면 전선이 뒤엉킨 골목 사이로 주택들이 모여있는 단지가 하나 있습니다. 언뜻 보면 한적해 보이지만 주변에 대학교가 위치해 있고, 반려동물을 동반한 가구도 꽤나 있으며 차량도 지나다니기 때문에 마냥 한적하지만은 않고 때로는 시끄러운 동네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 생활권 사이, 언덕 끝자락에 새롭게 단장을 마친 한 다가구주택이 있습니다. 홍제동 주택의 건축주분께서는 외부의 기존 적벽돌을 유지하면서 이에 조금의 터치를 더해 깔끔한 모습으로 리모델링 하기를 원하셨기에 이를 반영하여 시안 제작 및 설계,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여기서 보여드릴 것은 지층과 1층에 각 2개의 호실로 구성되어 있는 분리세대의 변화 과정입니다. 비교적 적은 터치로도 큰 변화를 일으킨 모습을 확연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

사진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좌우로 이동하면, 시공 전후를 한 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after
before
유형다가구주택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건축구조연와조
공사기간2020년 4월 ~ 2020년 6월
내부시안 

홍제동 다가구주택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에 있던 붉은 벽돌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만큼 외관에서는 최소한의 불편함과 안전 문제를 해결한 뒤 내부에 총력을 다한 셈이 되는 것이죠. 

이 주택 역시도 시간이 꽤 오래 흘렀습니다. 거의 모든 호실에 공통된 사안이지만 특히 지층에 위치한 101호와 102호는 지층에 위치했다는 특성 상 채광과 통풍이 어려워 곰팡이와 습기 문제에 매우 취약했습니다. 또한 지저분한 채로 손길이 닿지 않은 창고와 같은 공간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해 그저 지저분한 채로 남아있는 유명무실한 곳으로 남아있기도 했습니다. 디자인궁은 이렇게 습기와 통풍에 취약한 공간을 깔끔하게 보완하고 버려지는 공간이 없게 하도록 하는 것에 최대 목표를 두고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위의 시안은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1. 넓고 쾌적한 지하 입구

2. 기존의 취약했던 부분 중심의 보완 및 깔끔한 마감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101호

101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현관을 보시면 어두운 컬러의 문과 화이트 벽, 그리고 포인트 조명으로 한결 깔끔해진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문을 제외한 마감재가 전체적으로 밝은 톤에 속해 반지하 구조임에도 넓고 밝은 느낌을 줍니다.

또한 거실과 주방으로 쓰이는 공간도 그  효율성을 한 층 높이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비좁은 현관 바로 앞에서 조리를 해야 해서 이것이 큰 불편함을 초래했는데, 이 구조를 전과는 다르게 거실과 주방을 합치면서 원활환 조리가 가능한 공간을 확보한 모습이 보입니다. 앞서 현관이 반지하 구조임에도 넓고 밝은 느낌을 준다고 했던 것이 기억나시나요? 바로 이 공간에서 조리 공간을 확보하면서 현관이 정리가 되었기 때문이랍니다. 모호했던 공간들이 정리되면서 각자의 역할을 확실하게 맡게 되어 필요한 곳에 공간감을 확보하는 시공이 진행된 모습입니다.

101호는 지층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부족한 채광과 환기로 인해 곰팡이 문제가 심각했었습니다. 이를 제거하고 내장재를 교체해 단열 시공을 진행하며 창문을 최대한 크게 내여 이러한 문제들을 최대한 해결한 투룸으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다용도실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저분한 채로 사람의 손길이 오래 닿지 않아 그저 유명무실한 곳으로 남아있던 곳도 깔끔하고 정돈된 톤으로 마감하여 세탁실이나 창고 등으로 이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만들어주어 그저 남기만 할 뿐인 공간이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정리되지 않고 지저분한 화장실도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습니다. 기존의 낡은 화장실에서 톤을 정리하고 약간의 민트가 섞인 포인트 컬러를 주어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정돈된 분위기로 바뀐 모습이 보입니다. 어수선하던 화장실이 트렌디한 장소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낡고 오래되어 너저분한 것들을 정리하여 모던하고 세련된 주택으로 탈바꿈한 모습이 인상적이지 않으신가요? 이어서 같은 지층의 102호 시공 사진을 보시겠습니다.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102호

102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현관은 101호와 유사하게 포인트 조명을 활용하고 밝은 톤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공간감을 확보한 모습입니다.

이 공간 역시도 주방 기구들이 현관 바로 옆에 위치해 있어 공간의 구분이 없고 모호한 채로 비효율적인 구조로 남아있었습니다. 102호에서는 우선 답답한 구조를 보완하고자 주방 기구와 수납장들을 한 쪽 벽면으로 몰아 정리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공간의 구분이 확실해지고 동선이 매끄럽게 흘러가게 되었으며, 아무런 의미 없이 남을 뻔 한 복도까지 널찍한 공간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1호와 마찬가지로 반지하에 위치한 102호이기 때문에 습기와 곰팡이에 아주 취약했습니다. 역시 가로로 넓은 창문과 내장재 교체 및 단열 시공으로 깨끗하고 밝은 침실로 재탄생하였습니다.

102호는 전체적으로 101호와 유사한 분위기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두 호실 모두 문제가 있던 공간들이 하나하나 그 문제가 해결되어 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으로 남았습니다.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201호

여기서부터는 지상에 위치한 세대입니다. 우선 201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부터 보시겠습니다.

구분이 모호해 복잡했던 현관에 파티션을 설치하였습니다. 파티션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용도가 거실과 확실히 분리되었고, 곧 현관만을 위한 수납공간도 둘 수 있게 되었습니다. 효율성 증대와 함께 시각적으로 깔끔하고 아름다워 보이는 효과도 주게 된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현관 아래에 위치한 것이 거실의 시공 전후 모습입니다. 한결 넓어진 공간감이 느껴지시나요? 밝은 톤의 마감재, 포인트 조명, 그리고 우물천장까지, 이 모든 것이 이전보다 공간을 넓어보이게 하는 효과를 주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애매한 위치에 있었던 주방 기구들도 그 위치를 옮겨 조리 활동을 위한 공간이 따로 구성되었고, 분위기도 거실과 유사해지며 화이트톤 속의 포인트 조명도 이 공간을 밝고 산뜻해 보이게 하는 것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주방 기구를 옮기면서 구조를 변경하게 되고, 방으로 쓰이는 공간을 좀 더 크게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넓어진 공간도 아무렇게나 쓰는 것이 아닌, 붙박이장 등을 활용해 좀 더 효율적으로 쓰이게 되어 침대까지도 놓을 수 있는 방다운 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지저분하게 널브러진 다용도실도 사람의 손이 닿지 않아 그저 버려지는 공간으로 남을 뻔 했지만 디자인궁은 이 부분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추우면서도 외부와의 기온차로 인해 결로의 온상이던 다용도실도 새로운 공간으로 바뀌었는데, 햇빛을 좀 더 끌어들일 수 있는 창호와 깔끔한 타일 소재의 바닥재 시공, 결로 현상 해결을 위한 단열 시공으로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한 깔끔하고 실용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습기 문제는 비단 다용도실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화장실도 누수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종이를 깔아놓고 생활해야 할 정도로 아주 심각했었죠. 디자인궁은 누수 문제 해결과 화장실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살리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거울장으로 수납력을 확보한뒤 변기와 세면대, 샤워부스까지 설치하여 작은 기능 하나 놓치지 않은 깔끔하고 실용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202호

202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그저 벽으로 막혀있는 것이 상당히 답답했는데, 이것을 우드 파티션으로 교체하여 그 문제를 해결한 모습이 보입니다. 효율성을 위해 공간을 분리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지만 별다른 고민 없이 무작정 막힌 것으로 설치하다 보면, 자칫 잘못하면 공간이 좁아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하지만 위와 같이 시선 너머의 공간이 보이는 구조물을 활용해 공간을 분리시키게 되면 널찍해보이는 효과와 공간의 효율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게 됩니다.

그 효과는 거실로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벽으로 막혀있을 때보단 공간이 확장되어 보이는 것이 느껴지시나요? 이에 더해 밝은 마감재와 우물천장, 그리고 그 라인을 따라가는 간접 조명은 방이 공간감을 확보하는 데에 그 효과를 더해주게 됩니다.

다음은 주방입니다. 애매한 위치에 떨어져 있던 주방 기구의 위치를 옮겨 동선을 하나로 일치시켰습니다. 그 결과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까지 생기고 상하부에 설치한 수납공간은 주방의 효율적인 공간 사용에 그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답니다.

이제 그 방으로 공간을 옮겨보겠습니다. 기존의 침실은 애매한 톤의 장판으로 그 분위기가 조금 어둡고 칙칙해 보였습니다. 이것을 한 층 더 밝은 톤의 마감재를 설치하면서 그 분위기를 이전보다 밝고 산뜻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화장실도 낡고 지저분했던 것이 모노톤 시공으로 한 층 정리되고 깔끔한 분위기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결로에 시달리며 어둡고 지저분했던 분위기가 밝고 산뜻해지면서 아늑한 나만의 공간으로 탈바꿈한 모습이 인상적인 홍제동 주택이었습니다. 거주하시는 분의 편안한 생활이 보장되길 바랍니다.

아래는 <홍제동 다가구 주택(분리세대)> 의 시공 전후 추가 사진입니다.



(주)디자인궁  ㅣ 대표이사 남궁설원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ㅣ 대표번호 02-461-0404ㅣ 팩스 02-336-0409 ㅣ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디자인궁대표이사 남궁설원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대표번호 02-461-0404  |   팩스  02-336-0409  |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견적문의
블로그
카카오톡 상담
위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