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다가구주택 내부 리모델링 ( 단독세대 )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곳은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다가구주택 리모델링 후 모습입니다.
동대문 창신 골목시장을 지나면 원단 공장들이 곳곳에 널려있고, 그 공장들 만큼이나 눈에 띄게 노후한 주택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세월의 흔적이 묻은 만큼 기본적인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며 시공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큰 포인트가 되었습니다. 건축주분께서는 기존의 노후된 모습을 탈피하고 새롭게 단장하여 수익형 알짜배기 건물로 재정비해보고자 디자인궁을 찾아주셨습니다.
여기서 보여드릴 것은 단독 호실로 쓰이는 3층의 변화 과정입니다. 어떻게 변화해갔는지 지금부터 함께 보시겠습니다.
사진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좌우로 이동하면, 시공 전후를 한 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유형 | 다가구주택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
건축구조 | 연와조 |
공사기간 | 2020년 1월 ~ 2020년 3월 |
창신동 다가구주택은 1983년에 사용 승인이 떨어져 거의 40년 정도의 오랜 시간이 흐른 주택이었습니다. 흐른 시간만큼 노후화가 진행되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취약한 부분들이 꽤 여러 군데 발견되어, 이를 진단하고 찾아내 해결하는 것이 시공 시의 첫번째 과제가 되기도 했죠. 이에 디자인궁은 기존의 골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으로 건물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열심히 모색했습니다. 또한 현장의 위치가 상당히 좁은 골목길이어서, 이를 감안하여 당시 상황의 컨디션 체크를 꼼꼼히 하며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단지 눈에 보이는 모습만 보기 좋게 바꾸는 것이 아닌, 이전보다 견고하고 강화된 공간을 만들어 이용자의 안전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것이 리모델링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자인궁은 아래의 3가지 요소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위의 시안을 작성하였습니다.
1. 기존의 벽체 구성을 크게 흔들지 않는 부분적 철거 및 보강
2. 공사 환경 및 주변 세입자들을 고려한 세심한 대비책 마련
3. 부분 수리를 통한 비용 절감 및 이에 따른 효율성 증대
현관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장이 있긴 했지만 많이 낡기도 하고 수납력이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거실과 공간의 구분이 모호했던 점도 수납력 부족에 한 몫을 하는 구조였죠.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요소로 중문과 함께 파티션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수납장은 깔끔하고 넓은 것으로 교체하고, 거실과 통하는 부분에 파티션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파티션도 꽉 막힌 것이 아니라 일부는 유리로 만들어 공간을 분리함과 동시에 너무 답답해 보이지 않도록 개방감을 주는 구조로 설치했습니다. 이어서 나오는 거실의 사진을 보시면 이 중문 설치의 효과를 조금 더 크게 실감하실 수 있습니다.
복도 공간도 함께 시공한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깔끔하게 이어지는 복도를 통과해 집안까지 이어지는 동선을 확보한 모습이 보입니다. 이제 거실로 들어가볼까요?
거실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답답한 높이의 천장고와 잡동사니가 즐비한 모습으로 보아 상당히 어수선한 분위기의 거실이었습니다. 시공 후의 사진에서는 파티션으로 공간을 확실하게 나누어 줌으로써 온전히 거실만의 용도로 쓰일 공간이 확보된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물천장 역시 깊이감을 형성해 공간을 한 층 더 넓어보이게 하여 개방감을 더합니다. 주방과는 아일랜드 식탁으로 공간을 나누어 두었지만 기본적으로 이어져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은은한 베이지톤으로 구성되어있지만 파티션이 진한 그레이톤이라, 자칫하면 지루해질 수 있는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효과도 보게 되었습니다. 효율성과 미적 부분을 동시에 잡은 거실의 분위기는 주방으로도 이어집니다.
주방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잡다한 물건들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널브러져 있는 어지러운 분위기가 한 층 세련되고 깔끔해지지 않았나요? 연한 베이지 톤의 가구와 아일랜드 식탁이 낡은 주방을 아주 트렌디하게 바꿔 주었답니다. 'ㄷ'자의 동선 안에 냉장고, 수납 공간, 조리 공간 등을 차례로 정리해 주어 불필요한 동선을 줄이고, 불필요한 동선이 줄어든 만큼 남는 공간들을 넓게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환기가 아주 중요한 곳인 만큼 적절한 위치에 비치한 창과 후드로 원활한 공기 순환도 빠지지 않고 챙겨두었죠. 주방으로써의 기능을 다하면서 세련되고 모던함도 놓치지 않은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침실의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다세대였던 2층의 방과 마찬가지로 이 방도 협소한 공간에 결로와 곰팡이에 시달렸던 곳입니다. 역시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큰 창을 설치하여 채광과 통풍 효과를 확보하게 되면서 골머리를 앓게 했던 결로와 곰팡이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창문은 이중창의 형태라 단열도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포인트 벽지를 통해 아늑하면서도 마냥 지루하지만은 않은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