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
창신동 다가구주택 내부 리모델링
(분리세대)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곳은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창신동 다가구주택 리모델링 후 모습입니다. 동대문의 창신 골목시장을 지나면 비좁은 골목들 사이로 원단 공장들이 곳곳에 널려 있는데, 이 곳에서는 원단 공장들 만큼이나 눈에 띄게 노후한 주택들이 많았습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누수 등의 기본적인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견되기도 했죠. 건축주분께서는 기존의 노후된 모습을 탈피하고 새롭게 단장하여 수익형 알짜배기 건물로 재정비해보고자 디자인궁을 찾아주셨습니다.

여기서 보여드릴 것은 2층에 두 개의 호실로 구성되어 있는 2층의 변화 과정입니다. 조금의 터치로 이렇게 다채로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가면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사진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좌우로 이동하면, 시공 전후를 한 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after
before
유형다가구주택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건축구조연와조
공사기간2020년 1월 ~ 2020년 3월
3D 내부시안 

이번에 리모델링을 진행한 다가구주택은 1983년에 사용 승인이 떨어져 거의 40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오래된 주택이었습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탓일까요? 실제로 시공에 도입하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취약한 부분들이 꽤나 발견되었습니다. 때문에 어디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진단하고 찾아내는 것이 시공할 때 첫번째 과제가 되기도 했죠. 이에 디자인궁은 기존의 골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으로 건물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았습니다. 전체적인 공사가 아니라 2, 3층과 외부 일부만 리모델링을 하는 만큼 기존 세입자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현장 위치가 비좁은 골목길인 부분도 감안하여 당시 상황의 컨디션 체크를 꼼꼼히 하며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단지 눈에 보이는 모습만 보기 좋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이전보다 견고하고 강화된 공간을 만드는 것이 리모델링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자인궁은 아래의 3가지 요소를 중점으로 설계하여 위의 시안을 작성하게 됩니다.


1. 기존의 벽체 구성을 크게 흔들지 않는 부분적 철거 및 보강

2. 공사 환경 및 주변 세입자들을 고려한 세심한 대비책 마련

3. 부분 수리를 통한 비용 절감 및 이에 따른 효율성 증대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201호 

201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복잡한 것들을 전부 정리하고 전체적으로 널찍하고 정돈된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관의 경우 좁아서 진입할 때 다소 불편함을 초래했으나 중문과 방화문을 설치하면서 세대를 정확하게 분리하고 201호만의 공간임을 확실히하면서 현관으로써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방과 거실도 이전에는 벽이 설치되어있어 상당히 답답하고 비좁은 공간이었으나 벽을 철거해 그 공간을 트고 비슷한 벽과 바닥 마감재로 통일하면서 훨씬 넓어보이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모노톤의 마감재와 LED조명으로 그 효과는 훨씬 극대화되었죠. 우물천장도 공간감을 넓히는 것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방의 경우는 햇빛이 들어오는 양이 상당히 부족해 결로와 곰팡이로 애를 먹는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비교 사진에서 보시면 창문을 적소에 크게 배치하여 확보할 수 있는 채광이 늘어 골머리를 썩히던 곰팡이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큰 창과 포인트 벽지는 하나의 디자인적 요소로 그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됩니다. 통일감을 추구하다 보면 어느 순간 공간이 단순해질 수도 있는데, 포인트 벽지를 통해 잘못하면 재미가 없어질 뻔한 공간도 시각적인 재미를 주게 되었습니다.

다용도실과 화장실도 마찬가지입니다. 계단실과 마찬가지로 크고 작은 잡동사니들이 고정되지 않은 채로 여기저기에 널브러져 있었습니다. 이런 것들이 동선 상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면 이동하는 사람이 불편할 뿐더러 잘못하면 부딪힘 사고가 발생하는 등 위험하기도 합니다. 무언가 복잡하게 쌓여 있는 공간을 전부 정리하고 타일로 마감한 뒤 세탁기와 건조기 등을 사용 가능한 깔끔하고 정돈된 다용도실로 변경되었습니다. 화장실은 라이트그레이+네이비 컬러로 감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기도 했습니다.

기능과 안전, 디자인의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멋진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된 모습이랍니다 *"*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2층 복도 

계단실 및 복도의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차이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이 느껴지시나요? 오래된 건물이었다고는 전혀 보이지 않는 모습입니다. 불안정한 난간과 고정되지 않은 채 널브러져 있는 잡동사니들 때문에 오래 되고 위험해 보이기까지 했던 공간이 타일과 포인트 조명으로 감각적이고 세련된 공용 공간으로 바뀌었답니다 *"*

Before & After  ( 시공전후 ) - 202호

202호 시공 전후 비교 사진입니다.

앞서 소개해 드렸던 201호와 마찬가지로 넓고 환하게 트인 공간이 되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 널브러져 있던 현관을 정리하고 신발장은 빌트인으로 설치하여 넉넉한 공간은 물론 신발 및 여러 짐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거실도 불편했던 구조를 개선하며 공간감을 확실하게 확보하였습니다. 202호의 거실에서 포인트가 되는 부분은 바로 '우물천장을 지나가는 보'입니다. 우물천장을 통해 수직적인 공간감도 확보하여 거실이 넓어보이는 것에 대해 큰 효과를 보았습니다. 거실에서는 주방으로 넘어가는 곳에 타일로 아트월을 구성하고, 우물천장을 가로지르는 보를 따라 간접등을 설치해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출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합쳐서 이 공간 자체가 하나의 디자인적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죠.

거실에서 이어지는 주방도 넓은 공간감을 그대로 이어받게 됩니다. 주방은 물을 쓰는 곳이며 조리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환기가 아주 중요한 요소이며 동시에 식기나 조리도구들을 수납할 공간 확보도 필수적입니다. 사진에서도 보실 있듯 넓은 창과 환기 장치를 설치하며 주방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들의 마무리까지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서 모노톤의 수납장과 상판은 주방을 단순히 기능적인 공간을 하는 공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모던하고 세련된 디자인적 공간으로 탄생하도록 큰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방은 201호와 마찬가지로 결로와 곰팡이에 시달리던 공간에서 큰 창을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채광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아래는 <창신동 다가구 주택(분리세대)> 의 시공 전후 추가 사진입니다.



(주)디자인궁  ㅣ 대표이사 남궁설원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ㅣ 대표번호 02-461-0404ㅣ 팩스 02-336-0409 ㅣ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디자인궁대표이사 남궁설원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9길 45, 백상빌딩 4층 (성산동) 

대표번호 02-461-0404  |   팩스  02-336-0409  |   사업자등록번호.  741-87-00970

Copyright (c) 2023 DESIGN GU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견적문의
블로그
카카오톡 상담
위로가기
+